티스토리 뷰

반응형

프랭클린 루스벨트(Franklin Roosevelt, 1882~1945)와 루스벨트 가문

미국 역사상 유일한 4선 대통령입니다. 한창 정치가로 일할 나이에 소아마비에 걸린 불운을 딛고 일어서 대통령이 되었습니다. 프랭클린의 아버지는 첫 부인과 사별을 하고 52세에 스물다섯 살의 아내와 결혼을 하였습니다. 그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가 프랭클린 루스벨트 입니다. 프랭클린의 외가인 델러노 가문도 허드슨 강변에 대저택을 가진 귀족 가문이었습니다. 루스벨트는 사람을 만나면 반드시 그 사람의 이름을 기억하고 불러주었고, 심지어 기계수리공의 이름까지도 기억했을 정도 였습니다. 이것은 상대의 호감을 얻는 그만의 비결이었습니다. 루스벨트는 어린 시절 외할아버지의 서재에서 처음 바다에 대한 책을 접한 뒤 해양전문가를 능가할 정도의 실력을 쌓았습니다. 이때 얻은 탁월한 해양 지식은 2차 세계대전을 승리로 이끌 수 있는 밑바탕이 되었습니다.

루스벨트 가문은 1636년 네덜란드에서 건너와 두 명의 미국 대통령을 배출한 미국을 대표하는 정치 명문가입니다. 26대 대통령인 시어도어 루스벨트에 이어 32대 대통령인 프랭클린 루스벨트입니다. 2009년 미국 역사상 최고의 10대 정치 명문가 선정리스트에서 케네디 가문에 이어 2위에 올랐습니다. 그도 그럴것이 이 가문에서 대통령 2명과 부통령 1명, 주지사 2명이 나왔기 때문입니다. 프랭클린의 아내인 엘리너는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조카로, 12촌 관계였습니다. 이 부부는 사후에 자신이 갖고 있던 재산과 자료를 모두 국가에 헌납해 공익재단인 '프랭클린&엘리너 루스벨트 재단'을 설립하여, 장애인과 민권운동 등에 기부하고 후원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루스벨트 가의 독서비법 7가지 

1. 어린시절, 생애 최초의 책을 주목하라 2. 집 안에 반드시 서재를 만들어라 3. 외국어로 시를 자주 암송하게 하라 4. 사전을 찾으면서 독서하게 하라 5. 역할모델을 정하고 그의 독서 리스트까지 모방하라 6. 읽는 것 보다 제대로 아는 것이 중요하다 7. 의견을 자유롭게 말하고 토론하는 분위기로 이끌어라.

프랭클린의 독서-사전을 찾으며, 읽고 메모하며 책들을 독파했다

프랭클린 루스벨트는 평생 독서를 즐겼습니다. 그는 외할아버지의 서재에서 발견한 오래된 항해일지와 보고서들을 재미있게 읽곤 했습니다. 이것들은 어린 시절 접하는 '인생의 첫 책들'이 되어 프랭클린의 삶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어머니 역시 외가에서 보고 들은 항해 이야기와 아시아를 여행했던 경험을 자주 들려주어 바다에 대한 지식과 동경을 조금씩 키워나가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프랭클린의 가장 중요한 일과인 독서는, 아버지의 서재에 있던 많은 책들이 있어 항상 책에 파묻혀 지내면서 많은 저서들을 독파하게 했습니다. 루스벨트박물관에 가면 당시 프랭클린이 책을 읽고 한쪽 여백에 메모한 내용들을 볼 수 있습니다. 새와 역사책, 특히 해군 역사를 좋아했던 프랭클린은 하버드대학을 나와 해군 차관보로 임명되었습니다. "배 없이 해전에서 승리할 수 없는 것 이상으로 책 없이 사상전에서 이길 수 없다"라고 말한 프랭클린은 그만큼 독서를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사전을 통해 찾아보면서 읽었습니다. 이런 습관은 그 뜻을 더 명확하게하여 학습 능력 향상에 직결되며, 독해력과 어휘력을 훨씬 좋게 해주었습니다.

역할모델(시어도어 루스벨트)의 장점 모방하기

프랭클린에게는 두명의 조력자가 있었는데, 부인 엘리너와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입니다. 시어도어는 2년 전 부친을 여윈 스무 살의 프랭클린에게 멘토이자 역할모델이 되어주었습니다. 결혼하고 정치에 입문할 때나 변호사로 활동하다 시어도어의 권고로 뉴욕 주 상원의원에 당선이되어 정치인으로 삶을 시작할 때, 프랭클린은 역할모델인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장점을 끊임없이 모방하고 따라했습니다. 시어도어 루스벨트도 엄청난 독서광이었습니다. 자서전에는 "도덕적 내용이 들어 있는 책을 통해 우리는 인생이라는 전쟁터에서 유용하게 쓰일 탄약을 얻게 된다"고 적고 있습니다. 시어도어는 역사와 문학, 과학, 철학에 이르기까지 여러 학문 분야를 두루 섭렵했고, 대통령이 된 뒤에도 매일 한두 권씩 꾸준히 읽었습니다. 속독가에다 다독가였던 시어도어는 38권의 책을 저술했습니다. 프랭클린도 멘토였던 시어도어를 따라 평생 독서를 게을리하지 않았습니다. 학창시절 평균B학점으로 졸업했고, 하버드대학에서는 평균 C학점으로 그리 좋은 편은 아니었지만 그는 늘 자신감에 차 있었습니다. 이 자신감은 성적이 아니라 독서에서 나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무엇인가를 해보라. 그것이 성과를 나타내면 더욱 박차를 가하라. 그래도 성과가 나타나지 않으면 다른 것을 시도해보라" 프랭클린은 국민들과 대화를 할 때마다 대공황으로 자신감을 잃은 국민들에게 미래에 대한 낙관과 긍정심을 심어주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반응형